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고대동양철학2

노자와 도덕경 판본. 노자는 춘추시대 초나라의 철학자이다. 기원전 3~10세기 사이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아쉽게도 정확한 기록은 없다. 허난시 주구시 루이현 사람으로 춘추시대 말기 주나라의 관리였으나, 뒤에 관직을 버리고 초나라로 이민한 것으로 추정된다. 사마천은 사기에서 노자로 추정되는 사람이 3명 있다고 적었다. 첫째로 이이를 예로 들었다. 그는 초나라 사람으로 공자에게 예(禮)를 배운 사람이며, 도덕의 말 5천여 자을 제작한 사람인데, 그의 최후는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두번째로 예로 든 사람은 역시 공자와 동시대의 노래자(老萊子)로서, 그의 저서는 15편 있었다 한다. 세 번째로 예로 든 것은 주나라의 태사담이라는 사람으로, 공자의 사후 100년 이상 지나간 때에 진나라의 헌공과 회담하였다고 한다. 결론.. 2024. 1. 13.
도가 사상이란 무엇인가? 도가(道家)사상. 노장사상(老莊思想)이라고 불리우기도 한다. 제자백가 중 하나의 사상으로, 보통 대표적인 사상가는 노자와 장자로 본다. 노자를 시초로 보지만 노자가 도가를 창시하지는 않았다 . 하지만, 후대 철학자들 중 노자와 장자의 사상 교집합 부분이 꽤나 적으며 '노장사상'이 엄격하게 말하면 맞지 않는다고 본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한국의 철학자 강신주는 노자는 제왕주의, 장자는 아나키즘에 가깝다고 표현한바 있다. 도가라는 분류가 생긴 이유는 후대 사람들이 비슷해 보이는 사상들을 한 범주로 묶어버렸기 때문이다. 노자→양주→열자→장자/황로학파라는 계보대로 도가가 일관되게 계승해오며 발전해온 사상이 결코 아니다. 그렇지만 실제로 도가로 분류된 학자들의 주장에는 일련된 공통점이 있다. [어느 의견.. 2024. 1. 12.
반응형